학원설립을 계획하고 계시거나 운영을 진행하고 계신 분이라면 무학년제 수업에 대해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무학년제 수업이란 간단하게 요약하여 학년/연령별로 수업을 편성하지 않고 교과별/능력별 편성을 통한 수업 진행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무학년제 수업의 운영과 장점 및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부방'과 유사한 운영 방식으로, 연령별로 편성하여 수업목표와 내용 및 방법을 결정해 진행하는 학년제 수업과 달리, 교과별 또는 능력별로 학습집단을 편성하여 학생 개인의 수준에 따라 수업목표와 내용 등을 결정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교육제도를 학생중심으로 바꾸는 데에 의의를 가지며, 학생의 연령이 아닌 지적수준에 수업을 맞추는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학년제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융통성 있는 시설과 학습자료가 갖추어져야 합니다.
- 수강생들의 학년 및 연령, 진도 등에 대한 제약이 적습니다.
- 다양한 연령대와 학습수준을 가진 학생들을 모집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일반 학년제 수업에서 주로 진행하는 수준별 반편성을 위한 레벨테스트를 위한 시간 및 비용 소모가 줄어듭니다.
- 다수의 학생들을 두지만, 1:1로 개별적인 진도를 나가는 만큼, 학부모와 수강생이 가지는 학원과 강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추가적으로 여러 명의 강사를 두게 된다면 운영 및 관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무학년제 수업의 경우에는 한 반에 수용 가능한 인원에 한계가 학년제 수업보다 큽니다.
- 1:1로 피드백이 진행되기 때문에 스트레스의 강도가 비교적 높을 수 있습니다.
- 수업을 온전히 진행하기에 시간이 불충분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수강생 별로 교재 등을 개별적으로 구비,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학년제 수업은 학원 개원 초기에 원생을 모으기 위해 많은 학원들이 쉽게 차용하는 방식입니다. 학원운영자가 강사의 역할을 할 때, 즉, 1인 체제에서 큰 장점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학원의 규모가 커진다면 무학년제의 수업의 운영이 보다 어려워진다는 것이 문제점입니다. 따라서 학원의 규모 및 운영 방식에 따라 학년제 수업 및 무학년제 수업을 적절히 활용하여 진행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